티스토리 처음설정? 무엇부터 해야 할까.
티스토리 블로그도 만들고, 글도 하나 작성해 보고 앞으로 어떻게 써내려갈지 생각을 마쳤다면, 가장 먼저 해야할 건 구글에게 내 블로그를 만들었다고 알리는 일이다.
구글 서치 콘솔(Google Search Console)
>> 구글에 내 티스토리 블로그를 등록하는 곳!
1. 구글서치콘솔, 시작하기
시작하기를 눌러주세요!
2. 속성유형선택
속성 유형 선택에서 URL접두에 부분에 티스토리 사이트 URL을 넣어주고 계속을 눌러준다.
+) 기존에 구글서치콘솔을 사용중이라면, 왼쪽 상단에 주소부분 >> 속성추가 버튼을 누르면 된다.
3. 소유권 확인
티스토리가 본인 게 맞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골라야한다. 가장 쉬운 방법은 아래 다른 확인 방법 중에 [HTML태그]를 복사하여 홈페이지 메타태그로 추가하는 것이다. 아래 이미지대로 따라오면 된다.
HTML태그 클릭
메타태그 <meta name= 어쩌구~ 가 쭉 나올 텐데 해당 태그를 복사해준다. 복사 후에 태그를 티스토리에 추가하고 확인을 눌러야한다.
3-2. 티스토리 HTML 메타태그 코드 삽입
티스토리 관리자로 들어가서, 왼편 꾸미기 아래에 [스킨편집]을 클릭한다.
우측에 [스킨 편집] 창이 뜨게되고, [html편집]을 확인할 수 있다.
아래 이미지처럼 오른쪽에있는 [html] 편집 클릭
html 편집을 클릭하면 티스토리 HTML 코드가 쭉 나타난다.
아래 이미지에서 보이다싶이
<head> 아래에
<meta 로 시작되는 코드들이 보일 것이다.
<head> 아래쪽에서 엔터를 누르고 복사한 메타네임 코드를 삽입한다.
<meta name="google-site-verification" content ~ 어쩌고 하는 메타네임 코드가 삽입되었으면 적용을 누르고 나오면 된다.
이제, 다시 구글서치콘솔로 돌아가서 소유권 확인을 해준다.
확인 클릭
조금 기다리면 소유권이 확인이 완료된다. 이제 마지막 단계만이 남았다, 구글에 내가 새 글을 작성할때마다 가져갈 수 있게 등록을 해야 한다!
4. 사이트맵 (sitemap) 및 RSS 등록
등록이 완료된 구글서치콘솔로 들아가서 왼쪽 메뉴를 살펴보자. 그중 [색인생성] - [Sitemaps]을 클릭.
새 사이트맵 추가 부분에 [ sitemap.xml ] 을 입력하고 제출을 클릭한다.
그리고 추가적으로 [ rss ] 를 입력하고 제출한다.
시간이 조금 지나면 상태가 성공으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+개별적으로 색인등록하기
사실 위 과정에서 구글에 티스토리를 등록했고, 앞으로 업로드하면 새 글이니깐 가져가줘! 라는 것 까지 부탁을 완료했다. 그렇지만 기존에 작성된 글들이 구글에 바로 안뜰 수 있기에 개별적인 색인작업을 한 번 해보도록 한다.
구글서치콘솔 메뉴 위쭉에 보면 [URL검사]라는 부분이 있다. 해당 부분을 누르면 URL 입력창이 나오는데, 거기에 티스토리의 게시물 URL을 입력하면 된다.
URL 입력 후 엔터
오른쪽 아래의 색인 생성 요청을 클릭한다.
테스트중
색인 생성 요청됨 !
이제 설정은 모두 끝났다.
구글에서는 이제 티스토리에 올라가는 게시물들이 노출되는 조건은 충족하게 된 것.
[티스토리 이야기] 처음 설정할 것, 구글검색에 노출시키는 방법
23.06.25. 끝.
[티스토리 이야기] 수피스토리, 블로그개설 / 목적과 목표
'▼ SNS > > 티스토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티스토리 이야기] 네이버에 티스토리 블로그 노출시키는 방법 (0) | 2023.06.28 |
---|---|
[티스토리 이야기] 블로그 방향설정; 글주제 정하기 (0) | 2023.06.25 |
[티스토리 이야기] 수피스토리, 블로그 개설 / 목적과 목표 (0) | 2023.05.23 |